DevOps

·DevOps
개요이전에는 수동으로 도커로 컨테이너 클러스터를 구축하고, 여기에 Hadoop, Zookeeper, Hbase, Spark 모두 설치하였습니다. 너무 따라하기 벅차죠?이 때 Terraform과 Ansible을 이용하면, 제 코드를 복사하여 손쉽게 구축할 수 있어요! 1. 인프라 구성 개념이 클러스터는 다음과 같은 컴포넌트로 구성됩니다:Master Node (master1): Hadoop NameNode, HBase Master, Spark Master 역할 수행Worker Nodes (worker1, worker2): Hadoop DataNode, HBase RegionServer, Spark Worker 역할 수행 2. Terraform을 이용한 인프라 배포Terraform을 활용하여 클러스터의 가상 ..
·DevOps
아직 Terraform을 사용해보지 못했다면 다음과 같은 글을 참조하자. https://iglu123.tistory.com/entry/Terraform으로-도커-컨테이너-구성하기 Terraform으로 도커 컨테이너 구성하기테라폼으로 서버 구성을 해보려고 한다. 테라폼 정의테라폼(Terraform)은 인프라스트럭처를 코드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오픈소스 도구입니다. 이를 통해 사용자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버, 네iglu123.tistory.com 테라폼으로 다음과 같이 세 개의 컨테이너를 구성한 상태이다. nameip 컨테이너1master1172.18.0.2 컨테이너2worker1172.18.0.3 컨테이너3worker2172.18.0.4  1. Ansible 개요Ansible이란?Ansible은 에이전..
·DevOps
테라폼으로 서버 구성을 해보려고 한다. 테라폼 정의테라폼(Terraform)은 인프라스트럭처를 코드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오픈소스 도구입니다. 이를 통해 사용자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버, 네트워크, 데이터베이스 등 다양한 리소스를 선언적으로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. 테라폼은 선언적 언어인 HCL(HashiCorp Configuration Language)을 사용하여, 원하는 인프라 구성을 코드로 작성한 후, 이 코드를 실행하여 인프라를 자동으로 배포하고 관리합니다. 테라폼 사용 목적테라폼을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:자동화: 인프라를 코드로 정의하여, 수동으로 리소스를 설정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고, 자동화된 배포가 가능합니다.버전 관리: 인프라 코드도 버전 관리가 가능해, 변경 사항을 추적하..
·DevOps/Docker
JIB1. JIB 간단 설명Jib는 Dockerfile을 사용하지 않거나 Docker를 설치할 필요 없이 컨테이너를 빌드합니다. Maven 또는 Gradle용 Jib 플러그인에서 Jib를 사용하거나 Jib 자바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Jib는 애플리케이션을 종속 항목, 리소스, 클래스 등 별개의 레이어로 구성하고 Docker 이미지 레이어 캐싱을 활용하여 변경사항만 다시 빌드함으로써 빌드를 빠르게 유지합니다. Jib 레이어 구성과 작은 기본 이미지는 전체 이미지 크기를 작게 유지하여 성능과 휴대성을 향상합니다.💡 라이선스: Apache License 2.02. 각 레지스트리 별 경로Google Container Registry (GCR)...jib.to.image = 'gcr.io/my-gcp..
이글루딩
'DevOps' 카테고리의 글 목록